카테고리 없음

파크골프와 지역경제 활성화 연계 전략

파크골프 연구소 2025. 4. 17. 08:29
반응형

지역경제 활성화는 지방소멸 위기 대응, 지역 간 불균형 해소, 주민 삶의 질 제고라는 측면에서 중장기적 국가 정책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비수도권 소도시 및 농산어촌 지역은 인구 감소와 상권 위축, 일자리 부족 등 복합적인 경제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으로 관광, 문화, 체육 등 생활 기반 자원을 활용한 경제 활성화 방안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파크골프는 단순한 여가 활동을 넘어,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할 수 있는 전략적 인프라로 평가받고 있으며, 본 글에서는 그 연계 전략을 실증 사례와 구조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파크골프는 외부 방문객 유입을 통한 지역 상권 회복에 기여할 수 있다. 전국 대회, 클럽 교류전, 동호회 투어 프로그램 등을 개최하면 인근 숙박업소, 식당, 카페, 편의점 등 지역 소상공인 업종에 직접적인 소비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강원도 홍천군에서는 연간 20회 이상의 소규모 파크골프 교류전을 운영하며 지역 내 하루 평균 100명 이상 외지인을 유치하고 있으며, 이들은 인근 농산물 직거래장터 및 지역 식당을 이용함으로써 지역 내 자금 순환을 촉진하고 있다. 이는 단순 체육시설을 넘어 지역관광과 소비 활동의 플랫폼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파크골프는 계절성과 무관하게 운영 가능한 시설이라는 점에서 지속 가능한 지역 소비 기반을 형성할 수 있다. 봄, 여름, 가을뿐만 아니라 눈이 적은 지역에서는 겨울철까지 운영 가능하여 연중 경제활동 자극이 가능하다. 특히 주말형 시설 이용이 많은 점을 고려할 때, 지역 농특산물 마켓, 플리마켓, 로컬 푸드존 등을 파크골프장과 연계해 운영하면 체류시간 연장과 소비 확대를 유도할 수 있다. 이는 로컬 콘텐츠와 체육을 융합한 복합 경제 모델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셋째, 파크골프 기반의 일자리 창출 가능성도 지역경제 관점에서 주목해야 한다. 코스 관리인력, 클럽하우스 운영요원, 경기 진행요원, 강사 등 직접 고용뿐 아니라, 용품 대여, 매점 운영, 차량 운행, 연계 숙박 등 간접 고용 창출 여력도 크다. 일부 지자체는 지역 주민을 파크골프장 운영 인력으로 채용하여 고령자 일자리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달성하고 있으며, 특히 청년층에게는 체육 프로그램 기획, 콘텐츠 제작, SNS 운영 등의 방식으로 참여 기회를 확대할 수 있다.

넷째, 파크골프는 지역 브랜드 마케팅과 관광자원 확장에도 기여할 수 있다. 지역 특색을 반영한 코스 디자인, 지역 명칭을 딴 대회 개최, 관광지 연계형 파크골프 투어 상품 개발 등을 통해 파크골프는 지역의 대표 콘텐츠로 발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남 고흥군은 ‘해안 절경 코스’로 차별화된 파크골프장을 조성하고, 관광객을 대상으로 체험형 프로그램과 연계해 지역 이미지를 제고하고 있다. 이는 파크골프를 단순한 운동이 아닌 지역의 특산, 경관, 인프라와 융합된 경제 자산으로 활용한 사례다.

결론적으로 파크골프는 소규모 지역사회에서 관광, 소비, 고용, 브랜드 등 다양한 경제 지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생활 기반 경제 활성화 전략으로 기능할 수 있다. 향후 지역경제 정책 수립 시 파크골프를 단순 체육시설이 아닌 다기능 복합 플랫폼으로 인식하고, 지역 자원과의 연계성, 민관 협력 체계, 마케팅 전략 수립 등을 통해 운영된다면, 파크골프는 지속 가능한 지역경제 성장의 거점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